분류 전체보기137 DDL, DML이란? https://appmaster.io/ko/blog/ddlgwa-dmlyi-caijeom DDL과 DML의 차이점 | AppMaster SQL에서 DDL과 DML의 차이점과 이들이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방법을 알아보세요. DBA와 개발자에게 필수적일 수 있습니다. appmaster.io 위 페이지를 보고 도움이 많이 되었다. DDL 과 DML 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? DDL ( Data Definition Language)은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정의하는 일련의 SQL 명령입니다. 단순히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에 대한 설명을 다루고 데이터베이스 개체의 구조를 만들고 수정하는 데 사용됩니다. DDL 문의 예로는 CREATE, ALTER 및 DROP 이 있습니다. DML ( Data Manipulation L.. 2023. 6. 21. 잎이 활짝 핀 무럭이 이때 3일동안 집을 비웠었나?? 3일만에 남은 두 새순도 잎을 활짝 피웠다! 무럭무럭 자라줘서 기분이 좋습니다. 원래는 무늬가 선명한 희귀무늬 식물이지만! 무늬가 없어도 괜찮다. 그것대로 매력이니까? 더 초록초록하니까 더 파릇파릇한거지 뭐 ㅎㅎ 광합성도 더 잘하고 좋네 2023. 6. 12. 내가 사용하는 유용한 단축키 모음! 배울 때 마다 하나씩 추가하겠음 개발자 도구 한 파일에서 찾기 : cmd + F 전체 파일(source)에서 찾기 : cmd + opt + F (윈도우 : ctrl + shift + F) vscode ctrl + g : 줄 번호 이동 cmd + d : 블록지정 및 같은 단어 찾아서 블록지정 (아주 유용!) cmd + shift + L : 그 파일에서 같은 단어 모두 블록지정 f2 : 이름 바꾸기 (알아서 모든 이름을 바꿔줌. 같은 이름의 다른 변수도 구분해줌. 보기 : 그룹에서 다음 편집기 열기, 이전 편집기 열기 나는 탭 이동을 많이 사용하는 편이다. 하지만 vscode에서는 cmd+0~9로 탭이동이 불가능하다. 그래서 내멋대로 바꿔주었다. 원래 있던 편집기를 첫 번째, 두 번째 그룹으로 이동 기능은 .. 2023. 6. 1. 5월 말 무럭이 무럭이 근황 올리려고 하면 자라고 ... 또 올리려고 하면 자라서 그냥 한꺼번에 올려버림 이틀 전에 잎 나기 시작했는데 오늘 보니까 뻥 살짝 치고 손바닥만해졌다! 이름 값 잘 하는구만 2023. 5. 31. 사이트의 HTML 문서 가져오기 어떤 사이트든 HTML문서를 가져올 수 있다. 다음과 같이 requests.get(url)을 하면 그 응답이 담기게 되고, 에러가 없을 경우 .text를 하면 코드가 텍스트 형태로 담기게 된다. .json을 하면 json형태로 담기는 것도 같은 방식이라고 생각한다. 또한, BeautifulSoup라는 것을 이용하면 그 코드를 쉽고 간편하게 원하는 것만 가져올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. soup = BeautifulSoup(response.text, 'html.parser') shipping_result = soup.select_one('table.table_col > tbody > tr:first-child > td:last-child')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면 html을 쉽게 파싱할 .. 2023. 5. 31. 무럭이 5.12 무럭이 진짜 많이 자랐다! 뿌리도 엄청 길고 새순도 눈에 띄게 길어졌다.그래서 흙으로 옮겨주었다! 머리를 힘차게 내밀 수 있도록 새순을 빼꼼시켜줬다. 물도 줬다! 2023. 5. 12. sqlalchemy event.listens_for 방금 sqlalchemy 문법의 event.listens_for 문법에 대해 배웠다. 형식은 아래와 같다. ArtworkLike table에 뭔가가 들어온다면 그 전에 실행하게 되는 부분이다. 데이터베이스를 추가하거나 삭제하는건 괜찮은데, 업데이트 할 때는 commit이 되지 않는 부분이 생겼다. 알고보니 session이 복제되었기 때문에 query문에 with_session(session)을 추가시켜주어 session을 명시해주니 해결되었다. 2023. 5. 10. 무럭이 4.20 뿌리가 길어졌고 옆에 싹이 나기 시작했다 2023. 5. 1. 원격 저장소에 해당 branch가 없을 때 git push 명령어를 입력했을 때 아래와 같은 에러가 났다. 이 에러는 현재 로컬 브랜치 'yk'가 원격 저장소의 어떤 브랜치와도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의미이다. 이 때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. 1. 명령어를 실행할 때 연결할 브랜치를 명시적으로 지정 git push -u : remote_name : 원격 저장소 이름 local_branch_name : 로컬 브랜치 이름 remote_branch_name : push 할 원격 저장소의 브랜치 이름 예를 들어 로컬 yk브랜치의 내용을 원격 저장소의 main브랜치에 올리고 싶다면 -u 옵션은 로컬 브랜치와 원격 브랜치의 연결을 유지하게 한다. (--set-upstream 옵션과 동일) git push -u origin yk:main 처럼 하면 된다. 2... 2023. 4. 13. 이전 1 ··· 6 7 8 9 10 11 12 ··· 16 다음